본문 바로가기

당신과 나의 전쟁/리뷰 & 보도

[무비위크] 2009년 평택 그곳에 인권은 없었다




-극장 개봉 대신 공동체 상영으로 관객들과 만난다고 들었다. 특별한 이유가 있나?

주위에서 개봉 여부를 묻는데, 극장 개봉이라는 형식보다는 또 다른 형식의 상영으로 관객들과 만나고 싶었다. 물론 극장도 (이 작품을) 좋아할 것 같지는 않고.(웃음) 그래도 쌍용자동차 투쟁이 당시 사회적으로 큰 화제였고, 지금도 여러 곳에서 상영 문의가 온다. 노동에 관한 작품이기 때문에 회사의 노동조합이나 시민 단체, 학생들에게 의뢰가 많이 들어온다.

-<샘터분식>(2008) 이후 다시 ‘노동’에 주목했다. 이번 작품은 어떻게 기획하게 됐나?

2000년대 초반의 파업들은 ‘투쟁’만 강조하는 노동자들 때문에 노동운동에 한계가 있었다. 외부의 시선도 좋지 않았고. 하지만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은 그게 아니었던 거다. 그들은 자기들만 이익을 얻고 끝내는 그런 투쟁이 아니라 같이 살아보자고 싸운 것이다. 거기서부터 이 싸움의 성격이 다른 것이다. 어떻게 보면 의미가 있던 싸움이었고 사회적으로는 또 다른 지점에서 평가를 내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무엇보다 이 상황을 좀 알려야겠다는 생각이 컸다.

-당시 현장 촬영이 무척 까다롭고 위험했을 텐데, 변수는 없었나?

투쟁 당시에는 그곳에 직접 가지 못했다. 공장 안의 화면들은 쌍용자동차 간부 분들이나 미디어 활동을 하시는 분들이 촬영한 거다. 나는 그 분들에게 촬영 테이프를 받아서 편집해 이야기를 만든 거다. 거의 250개 정도의 촬영 테이프를 수집했는데, 그 테이프를 전부 다 보고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만들었다.

-연출자로서 화면을 직접 찍지 못해 아쉬웠겠다.

당시 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의 허가를 받은 미디어 단체나 영상 활동가 외에는 현장에 카메라를 들고 들어갈 수 없었다. 허가를 받은 사람들도 몰래 들어갔다. 보수 언론에서는 별 관심이 없었는데, 싸움을 멀리서 바라보면서 어떻게 될까 마음만 졸이고 있다가는 아무것도 안 되겠더라. 마침 이상욱 프로듀서에게 제안이 와서 제작에 들어갈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아쉽기는 했지만, 그래도 당시의 상황을 알릴 수 있다는 사실이 자극이 됐다.

-그렇다면 편집하면서 작품의 방향을 고려했을 텐데, 어디에 무게를 뒀나?

보통 노동 다큐멘터리에서 표현하는 이미지들은 노동자들의 단결력을 포장하려고 노력하는 데, 이번에는 그런 점을 배제했다. 결과적으로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의 상황이 비극적이긴 하지만 그 면만 보여주는 것이 의도나 목적은 아니었다. 전체적으로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사실을 전달하려고 했다.


>> 전문 보기